안전,건강 / / 2023. 3. 18. 01:27

자연재난 - 산사태(Landslide)의 정의 및 안전대처

산사태는 폭우, 지진, 화산 폭발 등에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자연재난인 만큼, 재산 및 인명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 산사태 사고사례 관련, 2001년에서 2019년까지 219명이란 적지 않은 숫자가 산사태 사망자로 집계되었다. 한마디로 매년 평균 6~7명의 사망자가 나온 것인데, 작년 2022년에는 경기도 화성시의 산사태로 인한 토사로, 토사에 매몰된 사망자가 발생한 안타까운 사례도 있었다. 산사태는 주로 집중호우가 내리는 곳에서 발생하는데, 특히 강원지역은 태풍기류의 강한 동풍이 태백산맥에 충돌하며 발상하는 경향이 있어, 국내에서 제일 많은 산사태 발생지역으로 확인되었다. 

1. 산사태(Landslide)의 정의

산사태는 주로 경사지의 흙덩어리들이 수분을 머금으면서 무거워지고, 경사면 마찰보다 미끄러지는 힘이 강할 때 갑작스럽게 토사가 무너지는 현상이다. 수분 외에도 지진으로 인한 땅의 흔들림, 화산폭발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다. 산사태가 발생하면 낙석이나 암반, 토석류가 철로나 도로를 막아버려서, 관련 인프라적 피해가 생기고 심각하면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다. 우리 주변에선 안전조치가 미흡한 작업현장이나 주택 옹벽 등에서도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산사태의 주요 원인이 장마와 태풍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6월에서 10월 기간 동안 발생한다.

2. 안전대처 방법

산사태 발생 전

주변의 지면이나 벽에 금이 가거나 또는 땅이 가라앉고, 나무가 기울어지는 등 산사태 징후가 확인되면 즉시 대피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산사태 사고 위험을 최소화하려면, 산사태가 발생하기 쉬운 지역에 건물을 짓거나 거주, 야외활동을 하지 않는 것이다. 산사태 취약지역주민은 대피장소를 평소 잘 파악해 둔다. 또한 도로가 산중턱에 있으며, 급경사면이거나 비가 많이 오는 지역은 낙석방지망 등이 잘 설치되어 있는지 파악하여 주의하도록 한다. 특히 흙과 바위에 습기가 많은 경우 산사태 발생이 쉽기 때문에, 기상청 일기예보를 활용하여 폭우나 악천후에 주의를 기울인다. 작업현장에서는 장마와 같은 우기에 공사를 자제하고, 지반에서 굴착 및 건축 등의 작업을 할 때에는 반드시 지반 전문가와 상의하여 진행한다. 산사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경사면에 물이 고이거나 침식이 없게끔 해야 하는데, 국가적인 차원에서 정부 지자체가 미리 경사면에 나무와 초목 등을 심어 산림 화하고 토양을 안정화시키고, 상시 배수 시스템을 잘 유지보수하여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산사태 발생 시

산사태는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기 때문에 가능하면 높은 곳으로 이동한다. 이때 산사태 발생방향과 멀어지는 수직방향의 높은 곳으로 이동한다. 또한 산사태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도로나 길에서 운전하거나 걷는 것을 피한다. 실내에 있을 경우,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창문과 문에서 떨어진 장소로 피한다. 산사태 목격이나 무너진 토사를 확인하면 곧장 119에 신고한다. 추가적인 화재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가스, 전기, 수도를 잠그고, 라디오와 같은 매체를 통해 현재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한다.

산사태 발생 후

주변 산사태 피해현황을 파악하고, 119 구조대와 협력해서 근처 부상자들을 구호한다. 주민들이나 관련인들은 당분간 피해복구에 힘쓰고, 향후 추가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이 있으니, 피해사실을 정부 지자체에 신고하도록 한다. 이와 관련, 아래 산림청 국민행동요령이 간략하게 정리된 부분이 있으니 참고하고, 산사태 원인은 태풍 및 집중호우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아래 관련 태풍 및 집중호우에 대한 재난안전 정의 및 안전대처를 함께 확인하면 좋을 것이다.

반응형

태풍에 대한 안전대처 : https://ortom.tistory.com/entry/typhoon-safety

 

자연재난 - 태풍(Typhoon)의 정의 및 안전대처

우리나라는 태풍의 영향권에 속하며, 역대 강력한 태풍인 '사라'(1959년, 사상자: 3000여 명), '베티'(1972년, 사상자 : 550여 명), '셀마'(1987년, 사망자 : 343명)를 포함하여, '루사'(2002년, 역대 재산피해

ortom.tistory.com

집중호우에 대한 안전대처 : https://ortom.tistory.com/entry/자연재난-집중호우 Localized-Rainfall-안전대처

 

자연재난 - 집중호우(Localized Rainfall)의 정의 및 안전대처

매년 우리나라는 장마철마다 집중호우의 피해사례가 늘고 있다. 최근 2022년 여름에도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과 강원 일대에 하루 100~300mm 이상의 집중호우가 내려 곳곳에서 도로와 주택, 차

ortom.tistory.com

\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