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와 같은 기후영향으로 폭염의 영향은 더욱 위협적으로 다가오고 있다. 특히 여름철 폭염은 사회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주며 온열질환(열사병, 열경련)으로 인한 사망사고를 발생시키고, 농축산업에서는 농작물 및 가축의 폐사를 발생시키며, 과도한 전기량 상승으로 경제적 부담을 만든다. 2018년에는 폭염에 의한 사망자가 48명 발생하였는데, 이는 통계적으로 거센 폭풍우와 태풍으로 인한 사망자보다 3배 이상 높았던 결과를 보였다. 또한 폭염에 의한 온열질환자까지 합하면 연 1,000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하기도 한다. 근래 들어 여름철 이후 가을철에도 상반기 대비 3.9도 이상의 이례 없는 이상고온 현상이 보이기도 하는데, 보이지 않는 침묵의 재해 '폭염'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이제 우리는 폭염의 영향범위에서 적절한 대책을 통해 건강과 생명을 지키고 올바르게 대응해야 한다.
1. 폭염(Exteme heat)의 정의
통상 30℃이상의 더위가 계속되는 현상이다.(국가나 지역마다 다소 차이가 있다.) 기상청에서 최고 기온인 열파지수가 100 이상인 날이 3일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폭염이라 한다. 이와 관련, 폭염주의보는 일 최고기온이 33℃이상, 일최고 열지수(Heat index)가 32℃이 2일 이상 지속아 예상되는 경우 발행하고, 폭염경보는 일 최고기온이 35℃이상, 일최고 열지수(Heat index)가 41℃ 이상 2일 이상 지속이 예상되는 경우 발행한다.
2. 안전대처 방법
폭염에 의한 온열질환 발생에 유의해야 하며, 특히 열사병은 온열질환 중 가장 위험한 질환으로써, 중추신경계에 손상을 주어 의식장애/혼수상태를 일으키므로 적극적으로 체온을 식혀주는 것이 중요하다. 폭염에 가장 좋은 방법은 더위에 노출되지 않는 것이다.
실내에 있는 경우
가능하면 집안에 머무르도록 하고, 체력을 유지하기 위한 균형 있는 식사를 무리하지 않을 정도로 규칙적으로 하며, 물을 많이 섭취한다. 위생적인 생활 습관 또한 폭염으로 발생할 수 있는 질환에 큰 도움이 된다. 특히 폭염에 취약한 고위험군이 있는데, 주변에 아래와 같은 고위험군이 있다면 관심을 갖도록 한다. 폭염에 취약한 고위험군은 4세 이하, 65세 이상의 고령자, 비만, 열사병이나 열경련에 취약한 사람, 순환장애, 우울증, 심장질환, 고혈압 등과 같은 기저질환 환자가 있다. 특히 주정차된 차 안에 영유아나 동물을 혼자 두게 해서는 절대 안 된다. 밀폐되지 않고, 창문이 열려있는 경우라도 차 안의 실내온도는 쉽게 상승하기 때문에 특히 유의한다.
실외에 있는 경우
모자를 써서 뜨거운 햇빛을 차단하고, 밝은 색상의 옷을 입는다. 밝은 색상의 옷은 빛을 잘 차단해 주기 때문에 정상체온을 유지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된다. 작업자는 하루 중 가장 더운 시간대를 일기예보를 통해 미리 잘 파악하여 강도 높은 일을 피하도록 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해둔다. 수분 보충을 위해 매시간마다 1컵의 물을 섭취하며, 심한 운동을 한 경우, 보다 주기적으로 수분섭취를 한다. 이때 짧은 시간 동안 한 번에 많은 물을 섭취하면, 급격한 탈수 증상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주의한다. 전해질 음료도 도움 된다. 이미 폭염으로 인해 쓰러진 응급환자가 발생하였다면, 환자를 근처 그늘로 옮기고 옷을 느슨하게 하여 체온을 빠르게 낮출 수 있도록 한다. 부채나 선풍기, 물 등으로 적극적으로 몸을 식혀주며, 얼음주머니 등이 있는 경우에는 사타구니나 겨드랑이 목 주위에 번갈아가며 가볍게 대준다. 시원한 물을 마시게 하는 것도 도움이 되지만, 의식이 없는 환자인 경우에는 억지로 물을 마시게 하면 안 된다.
'안전,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재난 - 해일(Tsunami/Storm surge)의 정의 및 안전대처 (0) | 2023.03.12 |
---|---|
자연재난 - 폭설(Heavy snow)의 정의 및 안전대처 (1) | 2023.03.11 |
자연재난 - 황사(Yellow dust)의 정의 및 안전대처 (1) | 2023.03.07 |
자연재난 - 낙뢰(Lightning)의 정의 및 안전대처 (2) | 2023.03.05 |
자연재난 - 태풍(Typhoon)의 정의 및 안전대처 (1) | 2023.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