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건강 / / 2023. 3. 12. 20:12

자연재난 - 해일(Tsunami/Storm surge)의 정의 및 안전대처

해일은 사상자를 만들고, 선박 유실 등의 피해를 발생시킨다. 해일에 의한 피해는 근처 나라인 일본에 비해 적은 편이지만, 우리나라도 1년에 평균 1~2번 정도의 해일이 발생한다. 하지만, 우리나라도 역사상 가장 강력했던 해일이 존재했고, 해일은 갑작스럽고 거대하게 찾아온다. 대표적인 사례로 국내에서 규모 8.3의 인도네시아 대지진(1958년 9월 1일)으로 발생한 해일은 동해시에 큰 피해를 주었다. 당시 해일의 높이는 5m에 이르렀으며, 1,000여 채의 집을 파괴했고, 800명 이상의 사망자와 수천 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해외에서 가장 역사적 큰 해일은 파도의 높이가 30m였던 인도양 해일(2004년 12월 26일)로써, 14개국에서 23만여 명이 사망했다. 해일은 특히 야간에 발생하여 즉각적인 대비가 힘들기 때문에, 해안 근처의 사람들이나 해안 근처로 여행을 갈 관광객들이라면 기본적으로 해일에 대한 안전대책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반응형

1. 해일(Tsunami/Storm surge)의 정의

해일은 바다에서 높은 파도가 밀려오는 현상을 말하며, 지진 및 화산폭발 등에 의한 외부적인 충격과 폭풍에 의해 주로 발생한다. '해일'이란 용어와 관련하여, 우리나라는 해당 현상에 대해 '해일(海溢)'이라는 한 단어로 통일하여 표현하지만, 외국의 경우는 다양한 원인에 따라 구분 지으며, 주로 '지진해일(Tsunami)'과 '폭풍해일(Storm surge)'을 대표적으로 사용한다. 해일 발생 시 파도는 최대시속 800km의 속도까지 도달할 수도 있다.

2. 안전대처 방법

해일 발생 전

해일 대비를 위해 일기예보를 상시 확인하여 해일경보 등에 주의를 기울이며, 해안저지대 주민은 비상상황 발생 시 대피장소 및 대피방법을 미리 알아본다. 해안에서 진동을 느낀 경우나 지진해일 경보를 접한 경우, 즉각 높은 곳으로 대피한다. 지진해일 시 먼바다에서 조업 중인 선박은 귀항하지 말고 대기하며, 항구에 있는 선박도 먼바다로 안전하게 대피한다. 물이나 전기가 끊길 것에 대비하여 비상소지품과, 식수, 식료품, 라디오 등을 준비한다. 집 주변의 물건을 치우거나 고정시켜 주고, 집안에 물이 들어올 곳은 막아둔다. 집 주변 하수구나 배수구가 흙이나 쓰레기 등과 같은 것에 막혀있지 않은지도 확인하여 제거한다. 가까운 행정기관의 전화번호를 파악하는 것도 방법이다.

해일 발생 시

폭풍/태풍에 의한 해일 발생 시 국민재난안전포털 행동요령의 태풍에 대한 대비를 참고하여 함께 따르도록 한다. 하지만, 지진해일의 경우 사전예고가 어렵고 피해정도가 심각하므로 더욱 주의한다. 매우 심한 지면진동을 느끼면 가까운 곳에서 큰 지진이 난 것이므로 해안에서 지진이나 지진해일 특보가 발령되면 지진해일 긴급대피장소나 높은 곳으로 대피한다. 피할 시간이 없다면 주변 튼튼한 건물의 3층 이상인 곳 또는 해발 고도 10m 이상인 언덕으로 대피한다. 지진해일은 주기적(약 10분 간격, 3~4시간 동안 반복)으로 발생하며, 하루정도 지속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지진해일 경보 시 수영, 보트, 낚시, 야영 등을 멈추고, 해변가나 주택으로 대피한다. 미처 대피를 하지 못한 경우는 최대한 근처의 안전하고 높은 곳으로 이동하며, 목조 주택은 떠내려 갈 수 있으므로 벽돌이나 철근콘크리트로 된 튼튼한 건물로 이동한다. 해안에 가까울수록 위험하기 때문에 해일 발생 시 멀리 떨어진 급경사 없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한다. 해안에서 멀리 떨어질수록 파도의 영향이 적어지고 바닥에서 높이가 2~3m만 높아도 비교적 안전하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해일은 폭풍/태풍과 지진에 의한 영향이 크기 때문에 아래 관련 링크를 참고한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폭풍해일(Storm surge) 관련 태풍에 대한 안전대처 : https://ortom.tistory.com/entry/typhoon-safety

 

자연재난 - 태풍(Typhoon)의 정의 및 안전대처

우리나라는 태풍의 영향권에 속하며, 역대 강력한 태풍인 '사라'(1959년, 사상자: 3000여 명), '베티'(1972년, 사상자 : 550여 명), '셀마'(1987년, 사망자 : 343명)를 포함하여, '루사'(2002년, 역대 재산피해

ortom.tistory.com

지진해일(Tsunami) 관련 지진에 대한 안전대처 : https://ortom.tistory.com/entry/earthquake-safety

 

자연재난 - 지진(Earthquake)의 정의 및 안전대처

2010년 칠레 지진(규모 : 8.8 / 사망자 : 700여 명), 2011년 동일본 대지진(규모 : 9.1 / 사망자 : 15,000여 명)을 포함하여 최근까지도 2023년 터키 지진(규모 : 7.8 / 사망자 : 21,000여 명)이 발생했다. 근래에

ortom.tistory.com

\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